저희 회사는 주말 당직으로 출근을 하기도 하는데, 다른 회사도 이런 일들이 많이 있을 것 같습니다. 저희처럼 휴일에 근무하게 되면 근로기준법에 의해서 추가수당을 받아야 합니다. 회사에서 주는 대로 받으시지 말고, 휴일 근무수당이 어떻게 계산되는지 알아보고 정확하게 따져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휴일 근무수당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휴일 근로수당
휴일 근무수당은 상시 근로자수가 5인 이상인 사업장에서 법정 휴일에 근무를 시킬 경우 추가로 지급해야 하는 수당입니다. 휴일에 근무하면 통상시급에 가산수당까지 합쳐서 1.5배의 근로수당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근로기준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상시근로자 5인 미만의 사업장의 경우에는 가산수당을 지급하지 않아도 됩니다.
휴일 근무 시 8시간까지는 50% 가산, 8시간 이후에는 100%가 가산됩니다. 계산하기 쉽게 시급이 만 원이라고 가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급이 만원이기 때문에 휴일에 근무를 한다면 8시간 까지는 50%가 가산된 시급인 15,000 * 8 = 12만 원을 받아야 합니다.
만약 이 사람이 2시간을 더 일해서 휴일에 총 10시간을 일했다고 가정해봅시다. 8시간까지는 위에서 계산한대로 12만 원입니다. 이후 2시간 동안은 1만 원의 100%가 가산된 급여 2만 원으로 2시간을 일하니 4만 원을 추가로 지급받아야 합니다. 그래서 총 16만 원을 받아야 합니다.
연장 근로수당 계산방법
휴일 근로수당을 포함한 연장 근로수당은 통상시급 대비 1.5배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월급을 받으시는 분들은 기본급을 209시간으로 나누어서 통상시급을 계산할 수 있으며, 시급으로 지급받으시는 분들은 시급이 통상시급이 됩니다.
예를 들어서 시급이 1만원인 A 씨가 월요일 아침 9시부터 금요일 저녁 8시까지 일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 중 쉬는 시간은 2시간입니다. 4시간마다 휴게시간이 주어지도록 되어있습니다. 그럼 하루 11시간에서 2시간을 빼니 하루에 9시간씩 주 45시간을 일한 것이 됩니다.
그렇다면 A씨는 일주일 동안 총 5시간의 연장수당은 1.5 * 5 * 10000 = 75,000원으로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주 40시간 동안 일했을 때 받을 수 있는 급여인 40만 원과 더하면 일주일에 총 475,000원이라는 임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1달은 4.34주로 취급하기 때문에 월급으로 계산할 때는 4.34를 곱하시면 됩니다. 즉, A씨의 1달간 총 추가 근로수당은 75,000 * 4.34 = 325,500원입니다. 총월급은 기본급 1,736,000원 + 연장 근로수당 325,500원 = 475,000(연장수당 포함한 주급) * 4.34 = 2,061,500원 임을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추가 근로수당 미지급시
연장 근로수당을 미지급하면 임금체불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노동부에 진정서를 제출하실 수 있습니다. 노동부 홈페이지 - 민원신청 - 임금체불 - 진정서 다운로드 및 작성 후 제출의 순서로 진정서를 제출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회사의 경제적 사정이 어려워져 임금을 체불한 경우라면 체불임금 해소 건의문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노동자의 임금이 체불되어 현재 어려운 상황에 쳐했으니 회사에서는 임금을 지급해달라고 건의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를 이용하시면 근로자가 임금체불 해소를 위해서 노력했다는 증거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치며
임금 체불은 절대 일어나서는 안 되는 일이지만, 연장 근로수당을 제대로 지급하지 않는 사업주들이 여전히 많이 있습니다. 누군가의 노동력을 공짜로 쓰지 않고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는 것을 당연시 여기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기타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연말정산(2022년 귀속분)에서 달라지는 점 (0) | 2023.01.06 |
---|---|
예금자 보호법 - 한도, 보호되는 상품, 보호되지 않는 은행까지 총정리 (0) | 2023.01.02 |
청년도약계좌 예산, 신청 대상, 금리까지 총정리 (0) | 2022.12.31 |
중도 퇴사자 연말정산 (0) | 2022.12.30 |
주휴수당 폐지 가능성 (0) | 2022.12.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