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에서 진행하는 사업 중에서 행복주택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행복주택은 19세 ~ 39세의 대학생, 신혼부부 등 청년층의 주거불안을 해결하기 위해서 공급하는 공공 임대 주택 사업입니다. 행복주택은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고,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 제공해주기 때문에 청년층들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시켜 줍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행복주택의 입주자격과 신청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입주대상
LH에서 공급하는 행복주택은 아무나 입주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무주택 요건 및 소득기준과 자산기준을 충족한 청년, 대학생, 신혼부부, 산단근로자 중 하나일 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신혼부부의 기준은 결혼한지 7년 이내 또는 6세 이하의 자녀를 둔 가구, 예비 신혼부부를 지칭합니다.
소득기준
소득기준과 해당 세대의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월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합니다. 참고로 대학생은 본인과 부모 소득, 세대원 청년은 본인 소득, 맞벌이 부부는 부부 합산 소득을 기준으로 합니다. 대학생과 세대원 청년은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월평균소득 100%를, 맞벌이 부부는 120%를 적용합니다. 또한, 1인가구는 20%p, 2인가구는 10%p가 가산 적용됩니다.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월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2022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월평균 소득을 알아야 합니다. 2022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월평균 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2022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월평균 소득 | |||||
100% | 110% | 120% | 130% | 140% | 150% | |
1인 | 3,212,113 원 | 3,533,324 원 | 3,854,536 원 | 4,175,746 원 | 4,496,958 원 | 4,818,170 원 |
2인 | 4,844,370 원 | 5,328,807 원 | 5,813,244 원 | 6,297,681 원 | 6,782,118 원 | 7,266,555 원 |
3인 | 6,418,566 원 | 7,060,422 원 | 7,702,279 원 | 8,344,135 원 | 8,985,992 원 | 9,627,849 원 |
4인 | 7,200,809 원 | 7,920,889 원 | 8,640,971 원 | 9,361,051원 | 10,081,132 원 | 10,801,214 원 |
5인 | 7,326,072 원 | 8,058,679 원 | 8,791,286 원 | 9,523,893 원 | 10,256,500 원 | 10,989,108 원 |
6인 | 7,779,825 원 | 8,557,807 원 | 9,335,790 원 | 10,113,772 원 | 10,891,755 원 | 11,669,738 원 |
7인 | 8,233,578 원 | 9,056,935 원 | 9,880,293 원 | 10,703,651 원 | 11,527,009 원 | 12,350,367 원 |
8인 | 8,687,331 원 | 9,556,064 원 | 10,424,797 원 | 11,293,530 원 | 12,162,263 원 | 13,030,996 원 |
자산기준
행복주택은 자산기준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대학생과 취준생, 그리고 그 외입니다.
대학생
대학생은 신청자 본인의 자산 합계가 8,6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또한 자동차가액 산출대상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으면 안됩니다.
사회초년생
사회초년생인 경우에는 자동차 가액이 3,557만 원 이하여야 하며, 총자산은 2억 8,8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본인 입주 전까지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사실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나머지
나머지는 신혼부부, 한부모 가정, 고령자, 산단 근로자의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총자산이 3억 2,5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본인 또는 배우자(예비 신혼부부의 경우에는 혼인 예정인 배우자) 중 1인이 입주 전까지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 사실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무주택자라는 요건도 충족시켜야 합니다.
신청방법
행복주택 입주신청은 다양한 방법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LH 청약센터 홈페이지에서 임대 공고문을 보고 현장에 가셔서 직접 접수하실 수도 있고, 인터넷으로 접수하실 수도 있습니다. 단, 현장접수는 만 65세 이상 고령자, 장애인 등 인터넷 신청이 어려우신 분에 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인터넷으로 청약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PC: 한국토지주택공사 인터넷 홈페이지 접속(바로가기) - 청약센터 - 인터넷 청약 - 청약신청(임대주택)
- 모바일: 모바일앱(LH청약센터) - 임대주택 - 청약신청(임대주택)
참고로 마이홈포털 혹은 LH 홈페이지에서 공고가 나온 행복주택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마이홈포털은(마이홈포털 바로가기)를 눌러서 접속하실 수 있고, LH 홈페이지 공고문은 (공고문 바로가기)를 눌러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마치며
가장 최근 행복주택의 공고는 12월 30일에 올라왔으며 당첨자 발표는 4월입니다. 행복주택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현재 공고가 올라온 지역에 본인이 들어가고자 하는 지역이 있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댓글